패션 플랫폼들이 최근 '뷰티' 경쟁에 뛰어들었다. 시너지를 높이기 위한 계획은...(Maeil Business Newspaper)
(원문 제목: Fashion platforms have recently entered the 'beauty' competition. The plan is to increase synergy be..)
뉴스 시간: 2025년 2월 11일 11:16
언론사: Maeil Business Newspaper
검색 키워드 : K-beauty
연관키워드:#패션플랫폼 #ZigZag #WConcept #K뷰티
뉴스 요약
- 패션 플랫폼 ZigZag의 뷰티 카테고리 거래가 작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
- ZigZag은 2022년 4월 '직잭 뷰티'를 출시하여 뷰티 시장에서 영향력 확대
- W Concept도 첫 뷰티 페스티벌을 개최하며 뷰티 카테고리 강화
뉴스 번역 원문
패션 플랫폼들이 최근 "뷰티" 경쟁에 뛰어들었다. 패션과 뷰티를 연결하여 두 카테고리 간의 시너지를 높이려는 계획이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 스타일이 운영하는 스타일 커머스 플랫폼 "지그재그"는 지난해 뷰티 카테고리 거래가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지그재그는 2022년 4월 뷰티 전문가 "직잭 뷰티"를 출시했다. 이는 뷰티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뷰티 카테고리 거래는 전년 대비 137% 증가하며 사상 최대 거래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동안 거래 건수는 106% 증가했고, 고객의 단가와 첫 뷰티 제품 주문이 두 자릿수로 증가하여 기존 주력 사업인 "패션" 카테고리와 함께 지그재그 플랫폼의 성장을 이끌었다. 뷰티 카테고리의 세부 구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0대부터 40대 이상 모든 연령대에서 거래가 전년 동기 대비 세 자릿수 이상 급증했다. 특히 10대 고객의 거래는 같은 기간 동안 243% 이상 급증하여 기존 주 소비층인 20대와 30대와 함께 10대까지 고객층을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지그재그는 고객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브랜드를 입점시켰다. 현재 직잭 뷰티에는 약 2,400개의 브랜드가 있으며, 지난해에만 약 840개의 신규 브랜드가 입점했다. 이는 전문관 출범 초기의 매장 수(200개사)와 비교해 10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지그재그는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직잭픽(구 MDPick)"이라는 단독 기획 상품도 선보이고 있다. 지난해에만 10개 이상의 단독 상품이 출시되었으며, 지난해 10월 기준으로 전체 뷰티 카테고리 거래 중 "직잭픽" 제품의 비중은 약 20%에 달했다. 패션 플랫폼 W 컨셉은 최근 첫 뷰티 페스티벌을 개최하고 뷰티 카테고리를 강화하기 시작했다. 23일까지 열리는 뷰티 페스타에서는 최대 90% 할인된 가격으로 20,000개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W 컨셉의 뷰티 카테고리 거래량은 2023년 대비 지난해 20% 증가했다. 이너 뷰티는 47%로 가장 많이 증가했으며, 센트(38%), 메이크업 및 스킨케어(20%), 헤어 및 바디(10%)가 그 뒤를 이었다. "올해 뷰티 카테고리를 강화하여 K-디자이너 패션을 넘어 우수한 K-뷰티 브랜드를 발굴하는 관문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W 컨셉 카테고리 개발팀의 김윤석 팀장은 말했다. K-뷰티가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고 뷰티 사업의 진입 장벽이 낮기 때문에 패션 플랫폼들이 잇따라 경쟁에 뛰어드는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화장품 수출액은 102억 달러(약 15조 원)에 달해 사상 처음으로 100억 달러를 돌파했다. 화장품 수출은 지난해 전년 대비 20.6% 증가하며 성장세를 보였다.
뉴스 원문 보기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