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eauty 수출액, 지난해 100억 달러 돌파(매일경제)
(원문 제목: 化粧品を前面に押し出したKビューティーの輸出額が昨年100億ドルを突破し、史上最大の実績を達成した。)
뉴스 시간: 2025년 3월 25일 16:10
언론사: 매일경제
검색 키워드 : オリーブヤング
연관키워드:#K-beauty #AI추천알고리즘 #스프레이IO
뉴스 요약
- K-beauty의 수출액이 지난해 100억 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
- AI 추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에이브리의 매출이 전년 대비 45% 증가
- 올리브영 등 40여 개의 K-beauty 기업이 스프레이IO 도입
뉴스 번역 원문
K-뷰티의 수출액이 지난해 100억 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문화·콘텐츠 분야에서 한국 기업들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지만, 이러한 급성장 뒤에는 특정 산업에 특화된 '수직 인공지능(AI)'이 자리하고 있다.
스타일 커머스 플랫폼 '에이브리'는 선호 데이터 기반 AI 추천 알고리즘으로 2023년 매출이 전년 대비 45% 증가한 2,595억 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연간 흑자를 달성했다. 에이브리의 핵심 역량 중 하나는 소비자의 선호를 겨냥한 데이터 기반 추천 AI이다. 최근 도입한 'AI 사진 검색' 기능은 이용자가 등록한 사진과 유사한 상품을 AI가 찾아주는 서비스로, 이를 패션에서 뷰티·라이프스타일 영역까지 확장하고 있다.
커머스 AX 기업인 인덴트 코퍼레이션도 연간 기준으로 지난 3년간 109배의 급성장을 기록했다. 특히 지난해 6월에 공개한 글로벌 인플루언서 마케팅 자동화 솔루션 '스프레이 IO'는 올리브영 등 40여 개의 K-뷰티 기업이 도입했다. 스프레이 IO는 AI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및 인플루언서 마케팅 자동화 솔루션으로, 기존의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선별 과정이나 DM(SNS 다이렉트 메시지)을 활용한 관리 방식보다 약 4,800만 배의 시간적 효율을 보여준다고 설명하고 있다.
쇼트폼 콘텐츠 분야에서는 지난해 '스푼랩스'가 크래프톤으로부터 1,200억 원의 투자를 유치하기도 했다. 스푼랩스는 쇼트폼 드라마 '비글'을 제작하며, 비글은 2분 전후의 쇼트폼 드라마를 8개 언어로 제공하고, 국가별 맞춤형 콘텐츠 큐레이션 AI를 기반으로 시장별로 최적화된 콘텐츠를 제공한다.
뉴스 원문 보기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