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 플랫폼이 최근 '뷰티' 경쟁에 참여하고 있다(매일경제)

(원문 제목: ファッションプラットフォームが最近「ビューティー」競争に参入している)

뉴스 시간: 2025년 2월 11일 11:16

언론사: 매일경제

검색 키워드 : K-ビューティー

연관키워드:#카카오스타일 #지그재그 #W컨셉트 #K-뷰티

뉴스 요약

- 카카오스타일이 운영하는 지그재그가 뷰티 카테고리 거래액을 급증시켰다

- W컨셉트는 첫 뷰티 페스타를 개최하여 뷰티 카테고리를 강화하고 있다

- K-뷰티의 세계적 인기로 인해 패션 플랫폼들이 뷰티 사업에 진출하고 있다

뉴스 번역 원문

패션 플랫폼이 최근 "뷰티" 경쟁에 참여하고 있다. 패션과 뷰티를 연계하여 두 카테고리의 시너지를 높일 계획이다.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스타일이 운영하는 스타일 커머스 플랫폼 "지그재그"는 지난해 뷰티 카테고리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급증했다. 지그재그는 2022년 4월, 뷰티 전문관 "지그재그 뷰티"를 론칭했다. 뷰티 시장 내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실제로 지난해 뷰티 카테고리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137% 증가하며 역대 최대 거래액을 갱신했다. 같은 기간 거래 건수는 106%, 뷰티 상품의 첫 구매 고객과 주문 고객 단가도 역시 두 자릿수 증가하며 기존의 대표 사업인 "패션" 카테고리와 함께 지그재그 플랫폼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뷰티 카테고리의 상세 구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0대부터 40대 이상까지 전 연령층의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3자릿수 이상 급증했다. 특히, 10대 고객 거래액은 같은 기간 3배(243%) 이상 가장 크게 뛰어올라 기존의 주요 소비층인 20~30대와 함께 10대까지 고객층을 확대하는 데 뷰티 카테고리가 기여했다. 지그재그는 고객의 니즈에 맞춰 다양한 브랜드를 입점시켰다. 현재 지그재그 뷰티의 입점 브랜드 수는 2400개 이상으로, 지난해에만 약 840개 이상의 브랜드가 신규 입점했다. 전문관 론칭 초기의 입점사(200여 개)와 비교해 약 10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지그재그는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단독 기획 상품 "지그재그 픽(구 MD픽)"도 선보이고 있다. 지난해에만 10개 이상의 단독 상품을 론칭, 지난해 10월 기준으로 전체 뷰티 카테고리 거래액 중 "지그재그 픽" 상품 비중은 약 20%에 달한다. 패션 플랫폼 W컨셉은 최근 첫 뷰티 페스타를 개최하며 뷰티 카테고리 강화에 나섰다. 23일까지 열리는 뷰티 페스타에서는 2만 개 이상의 상품을 최대 90% 할인된 금액으로 구매할 수 있다. W컨셉의 지난해 뷰티 카테고리 거래액이 2023년 대비 20% 증가했다. 이너뷰티가 47%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향수(38%), 메이크업·스킨케어(20%), 헤어·바디(10%) 순이었다. W컨셉 카테고리의 김윤석 디벨롭먼트 팀장은 "올해, 뷰티 카테고리 강화를 통해 K-디자이너 패션을 넘어 우수한 K-뷰티 브랜드를 발굴하는 등용문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K뷰티가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데다, 뷰티 사업이 진입 장벽이 낮기 때문에 패션 플랫폼도 잇따라 경쟁에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화장품 수출액은 102억 달러(약 15조 원)로, 사상 처음으로 100억 달러를 넘었다. 지난해 화장품 수출은 전년 대비 20.6% 증가하며 성장세를 보였다.
뉴스 원문 보기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