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뷰티 브랜드, 트럼프 관세에도 불구하고 미국 시장 진출 모색(Tech in Asia)
(원문 제목: South Korean beauty brands eye US market despite Trump’s tariffs)
뉴스 시간: 2025년 6월 5일 16:40
언론사: Tech in Asia
검색 키워드 : K-Cosmetics
연관키워드:#Tirtir #d’Alba #Torriden #BeautyofJoseon #Sephora #UltaBeauty #Costco #Target #쿠션파운데이션 #K-beauty
뉴스 요약
- South Korean cosmetic brands, including Tirtir, d’Alba, Torriden, and Beauty of Joseon, are negotiating with major US retailers to sell their products in physical stores
- These companies aim to leverage their online success in the US, despite facing challenges such as tariffs
- Retailers such as Sephora, Ulta Beauty, Costco, and Target are reportedly in discussions to stock these brands
뉴스 번역 원문
한국 뷰티 브랜드, 트럼프 관세에도 불구하고 미국 시장 진출 모색
한국의 화장품 브랜드인 티르티르, 달바, 토리든, 조선의 미 등은 미국의 주요 소매업체와 협상 중이다. 이들 브랜드는 관세와 같은 도전 과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의 온라인 성공을 활용하고자 한다. 세포라, 울타 뷰티, 코스트코, 타겟과 같은 소매업체들이 이들 브랜드를 매장에 진열하기 위한 논의에 참여하고 있다.
티르티르의 CEO인 안병준은 다양한 피부 톤에 적합한 쿠션 파운데이션의 성공을 언급했다. 이 제품은 올타 뷰티 매장에서 여름에 판매될 예정이며, 회사는 2025년까지 미국 매출을 두 배로 늘릴 계획이다. 미국에서의 한국 화장품에 대한 관심 증가는 K-뷰티 제품에 대한 글로벌 수요의 증가를 보여준다.
K-뷰티의 제조 모델은 관세 저항력을 제공한다. 한국의 뷰티 스타트업들은 아웃소싱 제조를 중심으로 한 독특한 비즈니스 접근 방식 덕분에 경쟁자들보다 관세 압박을 더 잘 견딜 수 있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 많은 한국 브랜드는 코스맥스와 콜마와 같은 계약 제조업체와 협력하여 비용을 경쟁력 있게 유지하면서도 더 높은 마진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모델은 수직적으로 통합된 서구의 럭셔리 브랜드와 대조적이며, 한국 브랜드가 10-25%의 잠재적 관세 인상을 더 잘 흡수할 수 있다고 믿는 이유를 설명한다.
글로벌 프리미엄 화장품 시장의 2030년까지 1,96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점은 성공적인 브랜드가 관세 문제를 극복하면서도 성장을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마진 잠재력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한국이 2024년 세계 화장품 수출에서 3위에 올라 100억 달러의 국제 매출을 달성한 것은 이 제조 접근 방식이 이미 빠른 국제 확장을 지원하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뉴스 원문 보기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