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불황에 빠진 패션 업계가 화장품 사업에 눈을 돌리고 있다(매일경제)

(원문 제목: 長期不況に陥ったファッション業界が化粧品事業に目を向けている)

뉴스 시간: 2025년 1월 14일 16:17

언론사: 매일경제

검색 키워드 : K-ビューティー

연관키워드:#화장품사업 #브랜드플랫폼 #K뷰티

뉴스 요약

- 패션 업계가 화장품 사업에 진출하는 이유는 진입 장벽이 낮고 투자 비용이 적기 때문

- 브랜드 플랫폼 '발란'이 '발란 뷰티'를 통해 100여 개 브랜드의 3000여 개 제품을 판매할 계획

- K-뷰티 브랜드가 해외 시장에서 선전하며 한국 화장품 수출 규모가 전년 대비 20.6% 증가

뉴스 번역 원문

패션 업계가 장기 불황에 빠지면서 화장품 사업에 눈을 돌리고 있다. 화장품 사업은 다른 사업에 비해 진입 장벽이 낮고 투자 비용이 적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브랜드 플랫폼인 발란은 "발란 뷰티"로 뷰티 시장에 진출한다고 최근 발표했다.

발란은 이번 달부터 "발란 뷰티"를 통해 딥티크, 이솝, 조말론 등 전문 뷰티 브랜드와 샤넬, 디올, 에르메스 등 브랜드 기반 뷰티 브랜드를 포함한 100여 개의 브랜드의 3000여 개 상품을 판매한다. 발란 뷰티는 브랜드 뷰티의 해외 직접 구매 사업 모델로, 유럽, 미국, 아시아 등 현지 부티크에서 세밀하게 제품을 소싱하여 브랜드와 가격 면에서 기존 시장과 차별화할 계획이다. 발란 뷰티는 면세점 수준의 상품 구성과 최저 가격에 준하는 합리적인 가격을 제공한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발란 관계자는 "발란 뷰티는 정품 문제에서도 자유롭다"며 "해외 유명 면세점 및 브랜드 화장품 전문 유통 회사와의 제휴를 통해 정품을 직접 구매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K-뷰티 브랜드가 미국, 유럽 등 해외 시장에서 선전하며 잠재력을 입증한 바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한국의 화장품 수출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전년 대비 20.6% 증가한 102억 달러로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그로 인해 패션뿐만 아니라 유통업계 전반에서 뷰티 사업을 신사업으로 구상하고 있다. 한세MK는 스킨케어 제품 중심의 뷰티 사업 진출을 검토하고 있다. 앞서 한세MK의 임동환 대표는 지난해 10월 베트남 호치민에서 열린 2024 글로벌 기업 설명회(IR) 이후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시장 수요, 발전 방향에 맞춰 뷰티 영역으로 사업 확장을 고려 중"이라며 "스킨케어 OEM 기업과 자사 브랜드 스킨케어를 제조하거나 브랜드 콘셉트와 맞는 스킨케어 제품을 사와 편집숍 형태로 운영하는 등의 방식을 고려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올해도 뷰티 사업을 적극적으로 전개할 계획이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자사 브랜드의 연작, 스위스의 퍼펙션, 비디비치, 포아레를 비롯해 딥디크, 아워글래스 등 약 30개의 화장품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의 지난해 3분기 화장품 사업 매출액은 3047억 원이다. 2022년 동기간 2726억 원, 2023년 2860억 원에서 처음으로 매출액 3000억 원을 돌파했다. CJ온스타일도 올해 프리미엄 뷰티를 본격적으로 육성한다고 밝혔다. 19일까지 "올인원 뷰티 아모레위크" 이벤트가 개최된다. 설화수, 헤라, 에스트라, 아이오페, 프리메라 등의 대표 브랜드를 판매한다. 이번 이벤트의 주요 키워드는 "나를 위한 프리미엄 설 선물"이다.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저녁 7시, CJ온스타일 모바일 라이브 방송에서 해당 상품을 판매할 예정이다. CJ온스타일 관계자는 "고물가에도 슬로우 에이징과 홈 에스테틱 트렌드가 맞물려 프리미엄 뷰티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뉴스 원문 보기 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