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T코스메틱스, 리들샷으로 K-beauty 시장 선도(Maeil Business Newspaper)

(원문 제목: Kim Yeon-soo {pseudonym}, an office worker in her 30s, says that her skin feels firmer and smoother ..)

뉴스 시간: 2025년 4월 11일 17:30

언론사: Maeil Business Newspaper

검색 키워드 : OLIVE YOUNG

연관키워드:#VT코스메틱스 #리들샷 #K-beauty #올리브영 #해외진출

뉴스 요약

- VT코스메틱스의 리들샷 제품이 K-beauty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음

- 올리브영과 명동 VT 매장에서 국내외 관광객들이 많이 구매

- VT코스메틱스의 주가가 2023년 이후 660% 상승

뉴스 번역 원문

김연수(가명)라는 30대 직장인은 최근 아침에 일어났을 때 피부가 더 탄탄하고 부드럽게 느껴진다고 말했다. 이는 6개월 전 쿠팡에서 구매한 '리들샷 100' 제품을 사용한 이후의 변화다. 김연수는 "잠자기 전에 리들샷을 먼저 바르고 수분 크림으로 덮는다"며 "리들샷을 바르고 기본 화장품을 바르면 흡수도 더 잘 되는 것 같아 2-3회 사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처음 리들샷을 바를 때는 따끔거렸지만, 이제는 따끔거리지 않으면 덜 바른 것 같은 느낌이 든다고 말했다. 주변에는 리들샷 100 제품 외에 더 강한 300 제품을 사용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덧붙였다.

김연수가 좋아하는 VT코스메틱스의 리들샷은 K-beauty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핫 에센스 제품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는 물론 외국 관광객들도 올리브영이나 명동 VT 매장에서 리들샷 제품을 자주 구매한다. 리들샷 에센스 외에도 VT의 시카 토너 패드, 크림, 마스크, PDRN 앰플 등 다양한 K-beauty 제품들이 최근 인기를 얻고 있다. 이 덕분에 VT의 주가는 놀라운 상승세를 보였다. 리들샷이 출시된 2023년부터 지난해까지 660% 이상 상승했다. 주식 시장에서는 VT가 2000년대 K-beauty의 첫 번째 전성기와 2020년대 두 번째 전성기를 이끌고 있는 주목할 만한 기업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VT는 11일 한국거래소에서 32,700원으로 마감했으며, 전 거래일 대비 100원(0.31%) 상승했다. 최근 국내 주식 시장의 변동성으로 인해 주가는 등락을 겪고 있지만, 지난해 말에는 44,000원으로 상승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현재 VT의 시가총액은 1조 1,700억 원이다. VT의 상승은 COVID-19 팬데믹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팬데믹 동안 마스크를 항상 착용해야 했기 때문에 피부 트러블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소비자들을 사로잡은 것은 VT의 에센스 제품인 '리들샷'이다. 리들샷은 병풀 성분으로 만들어졌으며, 민감한 피부를 진정시키고 재생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세침이 피부에 미세한 절개를 가해 기본 화장품의 흡수를 높이는 홈케어 스킨 부스터 역할을 한다.

리들샷은 현재 50에서 1300까지 다양한 강도의 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며, 숫자가 클수록 미세침의 함량이 높아진다. VT는 리들샷 IP(지적 재산권)를 활용해 마스크, 크림, PDRN 기능성 화장품 등 다양한 라인업을 출시하고 있으며, 리들샷의 충성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 "리들샷 유니버스"를 구축하고 있다. VT는 오프라인 매장뿐만 아니라 인스타그램, 틱톡 등 다양한 소셜 미디어 채널에서도 이 제품들을 마케팅하고 있다.

리들샷은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뷰티 시장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일본은 리들샷의 성공 스토리를 처음으로 쓴 나라로, 보수적이고 폐쇄적인 시장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층이 다양하고 오프라인 약국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어 비즈니스 활동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일본 고객들의 입소문으로 리들샷의 인기가 높아졌고, 2023년 9월에는 일본 쇼핑몰 "큐텐 메가와리"와 "라쿠텐 슈퍼 세일"의 할인 행사에서 리들샷이 품절되기도 했다. 리들샷은 일본 소비자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브랜드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VT는 현재 미국과 중국 등 여러 나라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K-beauty 역직구 플랫폼을 운영하는 실리콘 투와 협력하여 유통망을 확장하고 있으며, 지난해 아마존 블랙 프라이데이 페이스 세럼 카테고리에서 판매 3위를 기록했다. 중국 시장에도 적극적으로 진입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설화수와 후세인과 같은 고급 화장품 브랜드가 인기를 끌었지만, VT는 중국 MZ 세대를 겨냥한 틱톡과 샤오홍슈에서의 마케팅을 통해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리들샷의 해외 확장은 폭발적인 수익 성장으로 이어졌다. VT의 2024년 매출은 4,317억 원, 운영 이익은 1,109억 원으로, 운영 이익은 전년 대비 143.48%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259.55% 증가하여 980억 원에 달했다.

현재 일부 K-beauty 관련 기업들은 시장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VT는 지난해와 같은 주가 상승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1분기 국내 사업 부문에 대한 불확실성을 지적하며 VT가 피크아웃 테스트에 놓였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VT는 일시적인 트렌드가 아닌 지속적인 트렌드를 만들어가고 있는 K-beauty 브랜드로서 성장 잠재력이 여전히 남아 있다. 리들샷은 이미 한국의 올리브영과 다이소에 입점해 있으며, 올해 상반기에는 미국의 코스트코 오프라인 진출을 준비하고 있다.

교보증권의 권우정 연구원은 "VT는 해외 진출의 진입 단계에 있다"며 "일본과 한국에서의 매출이 높았지만, 미국, 동남아시아, 중국, 유럽으로의 확장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미국의 대형 오프라인 채널들이 K-beauty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지만, 기존에 없던 독창적인 제품을 선호하며, 리들샷은 사용 시 독특한 따끔거림을 제공하는 제품으로 다른 스킨케어 제품과 차별화된다"고 설명했다.

VT의 목표 주가는 국내 증권사에서 △ 메리츠증권 45,000원 △ 하나증권 45,000원 △ 한화투자증권 50,000원으로 제시되고 있다. K-beauty 제품은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부분의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언급하면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VT는 미국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기 때문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미국에서 판매되는 대부분의 제품은 가격이 10달러에서 30달러 사이이며,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3달러 이하로 추정된다.

하나증권의 박은정 연구원은 "화장품의 경우 관세 부담은 용량과 판촉 방법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소비자에게 느껴질 정도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며 "모든 수입품에 동일하게 부과된다면 품질이나 혁신적인 제품 소비가 더 집중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내 주식 시장은 높은 환율과 정치적 혼란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투자처를 찾지 못한 투자자들이 미국 주식 시장으로 더 많이 이주하고 있다. 그러나 K주식 시장의 한쪽에서 조용히 실적을 내며 주가가 폭발하는 종목들도 있다. 우리는 차세대 리더를 발굴하고 좋은 블루칩 주식을 신중히 분석하여 국내 투자자들에게 희망과 꿈이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뉴스 원문 보기 홈으로